본문 바로가기

2025년 새해 목표 계획부터 달성까지! 작심삼일 극복하는 현실적인 실천 방법 5가지

G.주니맘 2025. 1. 5.

2025년 새해가 시작한 지 5일 차가 되고 있습니다. 모두 새해 목표 계획은 세우셨나요?

저는 매년 새해 목표를 세우는 편인데요. 작심삼일의 계획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천 방법들을 매년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24년도의 목표도 많이 달성했더라고요. 어떤 방식으로 계획하고 실천해서 달성까지 할 수 있었는지, 또 25년 새해 목표 어떻게 계획했는지 나눠보겠습니다.

 

1. 브레인 덤프하기

 

 

브레인 덤프(brain dump)는 머릿속에 있는 개인의 생각, 감정, 아이디어, 정보 등을 자유롭게 기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새해 목표, 계획을 짜려고 하면서 마음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거 해보고 싶은데 될까..?' '이건 올해해보는건 무리겠지?'라는 생각들이 계획과 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브레인 덤프는 말이 어려워보여서 그렇지 그냥 생각나는 대로 적는 거예요. 머릿속을 비우는 거죠. 좀 더 나에게 솔직하게, 가벼운 마음으로 새해에 도전해보고 싶은 것, 마음가짐 등을 모두 적어보는 거예요.

 

2. 키워드 정리하기

 

이제 브레인 덤프한 종이들을 보면서 키워드로 묶어보세요. 저는 이 때 만다라트 계획표를 이용했습니다. 만다라트 계획은 일본 야구선수 '오타니 쇼헤이'가 계획표를 9X9표로 정리해 놓은 표를 보고 유명해졌어요.

 

목표를 구체화하고 체계적으로 실행 계획을 세우기 위한 도구입니다. 예시를 보면 이해가 잘 되실 거예요.

  • 월 N만원 저축하기, 가계부 작성하기, 불필요한 소비 줄이기 등 -> 절약/저축
  • 운동 주 2회, 영양제 챙겨 먹기, 체중감량하기 -> 건강
  • 부모님께 연락 자주 드리기, 가족여행 가기 -> 가족
@노말이님 유튜브 참고 영상

 

이런 식으로 키워드를 정해서 가운데 칸에 적고, 나머지는 칸을 둘러싼 부분에 실행목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첫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은 위 유튜브 영상에서 만다라트 계획 세우는 법과 양식도 공유해부시더라고요. 참고해 보세요.

 

3. 분기별 or 월별 키워드 뽑기

만다라트 계획표로 키워드를 정리한다면 8개의 키워드가 나올 텐데요. 키워드를 정리했는데 3~4개 정도밖에 없을 수 있습니다. 괜찮아요.

 

어떤 목표를 이루다 보면  혹은 한 해를 지내다 보면 또 새로운 목표들이 생기니까요. 만다라트의 8개의 키워드, 각 키워드별 8개의 실천항목들을 1달 안에 실행하고 달성하긴 어렵습니다. 이렇게 하면 작심삼일 하기 딱 좋습니다. 우선순위가 있어야 합니다.

 

저는 분기별 or 월별 키워드를 뽑았습니다. 예를 들어, 1월의 키워드는 부수입으로 뽑았습니다. 1월의 키워드에 맞는 실천항목이 저의 우선순위 목표가 되어 거기에 집중하면 됩니다.

 

만약 1월에 이 실천을 잘했다면, 확률적으로 2월에는 도전의 영역이 아닌 관리의 영역으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럼 2월에는 새로운 키워드로 새로운 실천항목들을 해낼 수 있을 거예요. 

 

4. 실행항목 구체화하기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실행항목들이 나왔다면 구체화하는 작업을 하는 게 좋습니다. 실행항목들 중 구체화되지 않은 경우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께 연락 자주 드리기, 독서하기, 강의 듣기 등은 구체화를 시켜줘야 합니다.

1월의 키워드가 자기 계발에 독서하기, 강의 듣기 -> 1달에 1권 OO책 읽기, XX강의 밤 10시~11시까지 한 시간씩 듣기.

 

이런 식으로 정해 보는 겁니다.

저는 목표를 구체화할 때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이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참고해 보시면 구체화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거예요.

5. 한 달 회고하기

구분 Keep Problem Try
내용 좋았던 점 문제점 해결책
예시 -이번달에는 1일 1포스팅을 성공했다. 다음달에도 1일 1포스팅을 유지해나가자.
-실전반 완강을 했다.
-내 생각을 담는 글을 작성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1포스팅하는데 시간을 측정해볼 것.
-포스팅할 때 타이머를 켜놓고 작성할 것.

 

회고는 내가 계획하고 실천했던 항목들을 돌아보는 과정입니다. 단순히 잘했다, 못했다 평가하는 것으로는 더 나은 실행이 어렵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회고 방법은 KPT회고입니다. Keep(좋았던 점), Problem(문제점), Try(해결책)을 구분해 한 달을 피드백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겁니다. 그 부분들을 작성하면 다음 달을 계획하는데 유지할 점들, 수정해야 할 부분, 도전해 볼 것들을 정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2025년 새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천방법 5가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위에 5가지 방법을 걸친다면 분명 작심삼일에서 탈출할 수 있는 실행방법이 될 겁니다. 특히 한 달 한달 회고를 해보면 25년 12월에는 만다르트에 적혀있는 많은 것들이 이루어져 있을 거예요. 

 

📍구글가계부 1년 사용 후기

 

구글 가계부 1년 사용 후기: 생활비 절약, 정말 효과 있을까?

사회초년생때는 아날로그가 좋아서 가계부를 수기로 작성했었습니다. 결혼을 하고 나니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싶더라고요. 단순히 돈을 아끼고 모으는 것이 아닌 자산관리의 개념의 가계

growth-junimom.com

 

댓글